오는 8월 11일(월) 오후 7시 30분, 서초문화예술회관 아트홀에서는 현대음악 창작단체 YEORO(여로)가 주최하는 <제4회 여로 창작 합창제: 김소월을 말하다>가 열린다. 이번 무대는 여로 콘서트 시리즈의 25번째 공연으로, 12명의 젊은 작곡가들이 김소월의 시를 바탕으로 한 창작 합창곡을 선보인다. 전통과 현대, 문학과 음악이 어우러지는 이 자리에서 시와 선율의 새로운 조우가 펼쳐질 예정이다.

▲작곡가 강한뫼

클래시안은 이번 합창제에서 김소월의 시 「맘에 속의 사람」을 바탕으로 신작을 발표하는 작곡가 강한뫼를 만나, 그의 음악 세계와 예술관을 들어봤다.

― 작곡가님에 대해 간단히 소개 부탁드립니다.
강한뫼: 안녕하세요, 대구를 거점으로 예술 활동을 하고 있는 작곡가 강한뫼입니다.

― 이번 음악회에서 선보이시는 작품을 소개해 주신다면.
강한뫼: 제가 선택한 시는 김소월 시인의 「맘에 속의 사람」입니다. “잊힐 듯이 볼 듯이”, “그림기도 그리운 참말 그리운”, “인제도 인제라도 보기만 해도”와 같은 비슷한 문장 구조가 인상 깊었습니다. 이 독특한 말의 리듬을 음악적 동기로 삼아 작품 전반에 녹여냈죠. 윤동주, 정지용 등 특정 시대를 대표하는 시인들의 작품을 여러 차례 노랫말로 사용해 왔습니다. 그중에서도 김소월의 시는 특히 아늑하고 고졸한 구석이 있습니다. 문장이 품고 있는 이러한 따스함 때문일까요. 이번 음악 역시 그 정서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이번 합창제처럼 ‘문학과 음악’,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무대가 작곡가님께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강한뫼: 가곡은 저의 강점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장르이자, 수상과 공연 등 대외적인 인정을 계속 받아온 분야입니다. 시를 비롯한 문학을 기반으로 한 작업은 익숙함도 있지만, 무엇보다 저다운 방식의 작업이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 작업마다 ‘가곡은 어떤 음악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되는데요. 제게 가곡은 단지 ‘문장을 노래하는 것’이며, 문학의 의미는 책을 읽듯이 청중에게 맡기는 것이죠. 음악보다 ‘문학’이 더 남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이번 무대는 그런 제 가곡의 정의를 실험하는 장이기도 합니다.

― 이번 공연을 통해 청중에게 어떤 정서나 메시지를 전하고 싶으신가요?
강한뫼: ‘시의 아름다움’입니다. 단 한 문장이라도 마음에 남으셨으면 좋겠습니다.

― 작곡가님이 생각하는 ‘예술’이란 무엇이며, 언제 가장 예술답다고 느끼시나요?
강한뫼: 제가 생각하는 예술은 감성과 이성의 집약, 그리고 사색과 표출입니다. 예술이 가장 예술답게 느껴지는 순간은 이 개념을 초월하여 감각적으로 느낄 때입니다.

― 마지막으로 관객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강한뫼: 노래를 만들기 위해 시를 선택하는 이유는 기술적 특징 때문이 아닙니다. 직관적으로 문장이 음악과 함께 다가오는 희열이 가장 큰 이유죠. 시에 담긴 대단한 의도나 의미는 잘 모르겠습니다. 안다 해도 그것은 시를 읽은 저의 감상일 뿐입니다. ‘가곡’은 모두에게 아름다운 문장으로 다가가는 것이 먼저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곡은 김소월 시인의 시에 입힌 제 첫 음악입니다. 온화하고 고풍스러운 문장이 시를 잃어가는 이 시대에 작은 선물이 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한편, 작곡가 강한뫼가 참여하는 <제4회 여로 창작 합창제: 김소월을 말하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현대음악 창작단체 여로의 SNS 채널 및 NOL 티켓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클래시안 이현승 기자

*클래시안에서는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classian.korea@gmail.com을 통해 메일 제보, http://www.classian.co.kr/ 기사제보란을 통해 온라인 제보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