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8월 11일(월) 오후 7시 30분, 서초문화예술회관 아트홀에서는 현대음악 창작단체 YEORO(여로)가 주최하는 <제4회 여로 창작 합창제: 김소월을 말하다>가 열린다. 이번 무대는 여로 콘서트 시리즈의 25번째 공연으로, 12명의 젊은 작곡가들이 김소월의 시를 바탕으로 한 창작 합창곡을 선보인다. 전통과 현대, 문학과 음악이 어우러지는 이 자리에서 시와 선율의 새로운 조우가 펼쳐질 예정이다.
클래시안은 이번 합창제에서 김소월의 시 「술」을 바탕으로 신작을 발표하는 작곡가 심현호를 만나, 그의 음악 세계와 예술관을 들어봤다.
― 안녕하세요, 작곡가님에 대해 간단히 소개 부탁드립니다.
심현호: 안녕하세요 이번 연주에서 <술>이라는 곡을 작곡한 심현호라고 합니다!
― 이번 음악회에서 선보이시는 작품에 대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심현호: 김소월 시인의 시 <술>을 바탕으로 작곡한 합창곡입니다. 많이 알려진 <진달래꽃>과는 또 다른 정서와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시라고 생각합니다. 시를 먼저 천천히 감상해 보신 후, 그 시가 음악으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함께 느껴보신다면 더 흥미롭게 들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해당 시를 처음 마주하셨을 때 어떤 부분이 가장 강하게 다가왔나요?
심현호: 처음 이 시를 마주했을 때는 “술이 물이고, 물이 술이다”라는 표현이 재미있게 느껴져서, 밝고 유쾌한 곡을 써볼 수 있겠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시를 곱씹을수록 단순히 재미있는 내용을 넘어서, 감성적이고 진지한 정서가 깊이 배어 있다는 걸 느끼게 되었어요. 그래서 처음 생각했던 방향과는 다르게, 곡의 분위기나 접근 방식도 많이 달라졌던 것 같습니다.
― 이번 작품에서 특히 음악적으로 강조하고 싶었던 지점은 어디인가요?
심현호: 보통 곡을 쓸 때는 자연스럽게 기승전결을 구성하게 되는데, 이번 작품에서는 오히려 그런 흐름을 의도적으로 피하고자 했습니다. 극적인 고조보다는 담담하고 슴슴한 흐름 속에서 시의 분위기를 더욱 진하게 전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어요. 음악적으로도 그 점을 조심스럽게 담아내기 위해 많이 고민하며 작업했습니다.
― 김소월 시의 정서를 ‘합창’이라는 장르로 표현하는 데 가장 고민했던 부분 혹은 어려우셨던 부분은 무엇이었나요?
심현호: 제가 떠올린 분위기를 음악으로 구현하는 것도 쉽지 않았지만, 무엇보다도 합창이라는 형식 안에서 시도해볼 수 있는 것들이 워낙 많다 보니 오히려 그 다양함이 고민이 되기도 했어요. 여러 성부를 통해 다양한 색깔을 낼 수 있는 만큼, 그 안에서 너무 욕심내지 않고, 시의 정서와 제가 표현하고 싶었던 분위기를 어떻게 조화롭게 풀어낼 수 있을지 많이 고민했던 것 같습니다.
― 이 작품을 처음 접하는 관객이 ‘이 부분만은 놓치지 않고 들었으면’ 하는 부분이 있다면요?
심현호: 시의 가사 중에서 “우리 이일이 / 일이 되어 가도록만 마시니 괜찮을 걸세”라는 부분은 꼭 놓치지 않고 들어주셨으면 합니다. 이 구절이 지닌 묘한 담담함과 체념 같은 정서가 곡 전체의 분위기와도 깊게 연결되어 있어요. 그 부분이 지나갈 때, 왜 제가 이 시에 끌렸는지 조금이나마 느껴보실 수 있다면 정말 기쁠 것 같습니다.
― 이번 합창제처럼 ‘문학과 음악’,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무대가 작곡가님께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심현호: 연주를 들으시는 청중들뿐만 아니라, 연주자분들 그리고 저에게도 예술 간의 융합과 그 안에서의 다양성을 함께 체험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문학과 음악이 만나는 지점,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흐름 속에서 우리가 느끼고 표현할 수 있는 음악의 폭도 자연스럽게 넓어지는 것 같아요. 그런 경험이 이 무대를 더욱 특별하게 만들어 주는 것 같습니다.
― 이번 공연을 통해 청중에게 어떤 정서나 메시지가 전해지기를 바라시나요?
심현호: 저는 이 곡을 쓰면서 시의 내용을 통해 큰 위로를 받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바쁘고 치열하게 살아가는 요즘, 이 음악을 들으시는 청중분들께도 그 위로가 조용히 전해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잠시나마 마음을 내려놓고 감정을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작곡가님이 생각하는 ‘예술’이란 무엇인가요? 그리고 그 예술이 ‘언제’ 가장 예술답게 느껴지시나요?
심현호: 저는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한 사람이나 어떤 집단이 자신의 감정과 생각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험과 이야기를 여러 방식으로 표현하는 것이 바로 예술이라고 보는데요, 그 중에서도 가장 독창적이고 효과적으로 그 표현이 전달될 때, 저는 그 순간이 가장 예술답다고 느낍니다.
― 앞으로 탐구하고 싶은 음악적 주제나, 도전해보고 싶은 새로운 부분이 있다면 공유해 주세요.
심현호: 최근에는 전통적인 오선지 작곡뿐만 아니라, DAW(Digital Audio Workstation) 같은 컴퓨터 기반 음악 제작에도 관심을 가지고 공부해보고 싶습니다. 새로운 기술과 방법을 배우면서 음악적 표현의 폭을 넓히고, 앞으로 더 다양한 시도를 해보고 싶습니다.
― 요즘 작곡가님이 주목하고 계신 예술적 흐름이나 기술적 관심사가 있다면 소개해 주세요.
심현호: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요즘은 컴퓨터를 활용한 음악 제작에 관심이 많습니다. 특히 전자음악을 만들면서 배우게 되는 믹싱과 마스터링 같은 기술적인 부분들에 흥미를 느끼고 있고, 그 과정을 통해 음악을 다루는 시야도 조금씩 넓어지고 있는 것 같아요.
― 마지막으로, 이번 무대를 찾아주실 관객 여러분께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심현호: 귀한 시간을 내어 연주를 들으러 와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바쁘고 지친 하루 속에서 잠시 쉬어가실 수 있는 시간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많이 부족한 곡이지만, 제가 담고 싶었던 마음이 조금이나마 전해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감사합니다.
한편, 작곡가 심현호가 참여하는 <제4회 여로 창작 합창제: 김소월을 말하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현대음악 창작단체 여로의 SNS 채널 및 NOL 티켓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클래시안 이현승 기자
*클래시안에서는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classian.korea@gmail.com을 통해 메일 제보, http://www.classian.co.kr/ 기사제보란을 통해 온라인 제보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