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8월 11일(월) 오후 7시 30분, 서초문화예술회관 아트홀에서는 현대음악 창작단체 YEORO(여로)가 주최하는 <제4회 여로 창작 합창제: 김소월을 말하다>가 열린다. 이번 무대는 여로 콘서트 시리즈의 25번째 공연으로, 12명의 젊은 작곡가들이 김소월의 시를 바탕으로 한 창작 합창곡을 선보인다. 전통과 현대, 문학과 음악이 어우러지는 이 자리에서 시와 선율의 새로운 조우가 펼쳐질 예정이다.

▲작곡가 김하은

클래시안은 이번 합창제에서 김소월의 시 「둥근 해」를 바탕으로 신작을 발표하는 작곡가 김하은을 만나, 그녀의 음악 세계와 예술관을 들어봤다.

― 안녕하세요, 작곡가님에 대해 간단히 소개 부탁드립니다.
김하은: 안녕하세요. 클래식 작곡을 배우고 현재는 국악 작곡을 공부 중인 김하은입니다.

― 이번 음악회에서 선보이시는 작품에 대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김하은: ‘둥근 해’라는 시인데요. 시를 읽고 노래 가사 같다고 생각이 들었고 합창곡으로 만들기에 구성이 직관적으로 그려져 이 시를 선택하여 곡을 쓰게 되었습니다. 합창과 솔로의 다이내믹한 대비가 포인트인 곡이고 어둡지 않고 밝게 진행되는 현대음악의 합창곡입니다.

― 해당 시를 처음 마주하셨을 때 어떤 부분이 가장 강하게 다가왔나요?
김하은: 그동안 김소월 시인의 시들 중 그리움에 관련된 시를 많이 접해왔었는데, 잘 알려지지 않았던 사랑에 관한 시를 읽게 되었고 사랑을 둥근 해와 연결 지은 것이 인상 깊었습니다.

― 이번 작품에서 특히 음악적으로 강조하고 싶었던 지점은 어디인가요?
김하은: 어떤 스타일의 곡으로 쓸지 고민을 했는데요. 전체적인 음악 스타일은 현대음악으로 하자는 생각으로 쓰였고, 시를 읽으면 연에 번갈아 반복되는 시어들이 나오는데요. 제목처럼 ‘둥근 해’라는 시어가 쓰인 연은 합창으로, ‘그’로 지칭된 시어가 쓰인 연은 솔로로 구성하여 마지막 클라이맥스에 도달하기까지 고조되는 전개가 흥미롭게 들렸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 김소월 시의 정서를 ‘합창’이라는 장르로 표현하는 데 가장 고민했던 부분 혹은 어려우셨던 부분은 무엇이었나요?
김하은: 원 시를 시인이 어떤 마음으로 썼을지에 대해 고민하고 그것을 어떤 음악으로 표현해야 시를 해치지 않고 청중들이 잘 받아들일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했던 것 같습니다.

― 이 작품을 처음 접하는 관객이 ‘이 부분만은 놓치지 않고 들었으면’ 하는 부분이 있다면요?
김하은: 시작부터 끝까지의 전개를 전부 잘 들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이번 합창제처럼 ‘문학과 음악’,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무대가 작곡가님께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김하은: 음악, 현대예술이 누군가에게 거리가 느껴질 수도 있는 장르일 수 있는데, 문학과 함께 한다면 스토리나 음악에 대해 접근하고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조금 더 수월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 이번 공연을 통해 청중에게 어떤 정서나 메시지가 전해지기를 바라시나요?
김하은: 다양한 시를 접하는 동시에 다양한 장르의 음악으로 표현된 작품들이 공연을 보러 온 청중들에게 ‘받아들이기에 충분했다’라는 생각이 드는 공연이길 바랍니다.

― 작곡가님이 생각하는 ‘예술’이란 무엇인가요? 그리고 그 예술이 ‘언제’ 가장 예술답게 느껴지시나요?
김하은: 자신만의 생각하고 갖고 있는 것을 표출하고 표현할 때 예술이 느껴지는 것 같고, 예술을 통해서 그 사람의 성향이나 추구하는 것을 볼 수 있는 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

― 앞으로 탐구하고 싶은 음악적 주제나, 도전해보고 싶은 새로운 부분이 있다면 공유해 주세요.
김하은: 새로운 것들을 좋아해서 음악 안에서는 장르 상관없이 도전해 보고 싶습니다.

― 요즘 작곡가님이 주목하고 계신 예술적 흐름이나 기술적 관심사가 있다면 소개해 주세요.
김하은: 요즘엔 ‘공연이란 무엇일까’에 대해 고민하게 되는 것 같은데, 장르마다 공연 특성이 달라서 공연에 맞게 그 공연을 주로 보러 오는 사람들이 궁금해하고 충족시켜줄 수 있는 공연이 되려면 어떻게 하는 게 좋은지에 대해 고민하고 앞으로의 공연들도 계속해서 고민해야 될 것 같습니다.

― 마지막으로, 이번 무대를 찾아주실 관객 여러분께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하은: 공연에 찾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했던 것들이 만족이 되는 공연이 되길 바랍니다.

한편, 작곡가 김하은이 참여하는 <제4회 여로 창작 합창제: 김소월을 말하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현대음악 창작단체 여로의 SNS 채널 및 NOL 티켓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클래시안 이현승 기자

*클래시안에서는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classian.korea@gmail.com을 통해 메일 제보, http://www.classian.co.kr/ 기사제보란을 통해 온라인 제보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