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8월 11일(월) 오후 7시 30분, 서초문화예술회관 아트홀에서는 현대음악 창작단체 YEORO(여로)가 주최하는 <제4회 여로 창작 합창제: 김소월을 말하다>가 열린다. 이번 무대는 여로 콘서트 시리즈의 25번째 공연으로, 12명의 젊은 작곡가들이 김소월의 시를 바탕으로 한 창작 합창곡을 선보인다. 전통과 현대, 문학과 음악이 어우러지는 이 자리에서 시와 선율의 새로운 조우가 펼쳐질 예정이다.

▲작곡가 임경진

클래시안은 이번 합창제에서 김소월의 시 「두 사람」을 바탕으로 신작을 발표하는 작곡가 임경진을 만나, 그의 음악 세계와 예술관을 들어봤다.

― 안녕하세요, 작곡가님에 대해 간단히 소개 부탁드립니다.
임경진: 안녕하세요! 임경진입니다.

― 이번 음악회에서 선보이시는 작품에 대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임경진: 김소월의 시 '두 사람'입니다. 다른 시들에 비해 시가 짧고 비슷한 단어들의 반복이 특색인 시라고 생각했습니다. 한 겨울에 눈이 차분하게 내리는 어느 설산에서 이별을 앞둔 두 사람의 정서를 음악적으로 묘사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습니다.

― 해당 시를 처음 마주하셨을 때 어떤 부분이 가장 강하게 다가왔나요?
임경진: 눈이 쌓이는 장면을 '잎'이라고 표현한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흰 눈은 한 잎, 또 한 잎…) '잎'이라는 그 한 단어로, 매섭게 몰아치는 눈이 아니라 소복하게 쌓이고 있는, 그리고 주변이 조용해서 눈이 쌓이는 소리를 차분하게 들을 수도 있을 것만 같은 분위기를 표현해낸 것에 감탄했습니다.

― 이번 작품에서 특히 음악적으로 강조하고 싶었던 지점은 어디인가요?
임경진: 가곡, 합창곡, 오페라 등과 같은 미리 쌓여진, 글로 만들어진 서사를 바탕으로 음악을 작곡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로는 그 서사를 최대한 존중했는지를 되묻습니다. 너무 동떨어진 해석은 시인에 대한 존중과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 질문은 첫 질문의 답변과 상충될 수도 있지만—음악이 붙여졌을 때 그 작곡가가 만들어낸 고유한 서사가 잘 드러날 수 있는지를 되묻습니다. 음악이 그저 분위기만을 반주하고 시를 낭송하는 듯한 구성보다는, 작곡가가 시를 존중하면서도 나름의 음악적 서사를 구성하여 청중들에게 시를 그냥 읽었을 때와는 다른 경험을 드릴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김소월 시인의 '두 사람'은 짧은 시임에도 시 말미에 같은 문장이 반복되어 여운을 주는 구성이 인상 깊게 다가왔고, '다시금 또 보이는…'이라는 반복되는 여운을 잘 느낄 수 있도록, 그러나 시에 붙여져 만들어진 저의 음악이 고유의 서사를 가질 수 있도록 작곡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습니다.

― 이 작품을 처음 접하는 관객이 ‘이 부분만은 놓치지 않고 들었으면’ 하는 부분이 있다면요?
임경진: 이제는 만날 수 없는 그리운 사람을 꿈에서 만나 행복한 시간을 보냈지만 이내 다가온 꿈의 끝을 직감한 두 사람의 머뭇거리는 장면이 관객들에게 잘 전달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이번 합창제처럼 ‘문학과 음악’,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무대가 작곡가님께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임경진: 독일에서 유학하며 독일어 가사를 가지고 가곡을 쓰거나 오페라 작품을 작곡할 때, 모국어가 아니라 느낄 수 없는 미묘한 감정선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할 때 아쉬움을 느끼곤 했습니다. 이번 합창제를 통해, 한국 문학이 가진 특징—이를테면, 한국어 가사가 가진 함축성과 시가 가지고 있는 분위기를 온전히 느끼며 작업할 수 있어서 편안하면서도 깊은 해석이 가능했던 것 같아서 뜻깊었던 것 같습니다.

― 작곡가님이 생각하는 ‘예술’이란 무엇인가요? 그리고 그 예술이 ‘언제’ 가장 예술답게 느껴지시나요?
임경진: 음악을 공부하면 할수록 '예술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는 것 같습니다. 작곡가인 제게 예술, 그리고 작곡의 과정은 고독과 외로움, 끝없는 성찰의 연속이었습니다. 하지만 무대에서 작품을 소개할 때 가장 중요했던 것은 언제나 '설득력'이었습니다. 청중을 설득하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작곡할 것인가, 그 이전에 연주자에게 먼저 설득력 있는 작품이 되려면 어떻게 써야 하는가—또 연습 과정에서 같은 말이라도 어떻게 표현해야 서로 부드럽게 소통할 수 있을까 등, 끊임없이 고민해왔습니다. 예술도 결국 사람이 하는 일이기에, 저는 그것을 사람들의 마음을 얻고 설득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하고, 또한 예술이 가장 예술답게 느껴지는 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 앞으로 탐구하고 싶은 음악적 주제나, 도전해보고 싶은 새로운 부분이 있다면 공유해 주세요.
임경진: 올해 7월에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음악 전시회를 만들 기회가 있었습니다. 음악회에서도 적극적이고 주도적으로 감상하시는 관객분들이 많지만, 전시회로 기획하니 청중들과 소통하며 제 음악을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도록 충분한 설명을 드릴 수 있었고, 관객들도 보다 자유롭고 밀도 있게 감상할 수 있어서 좋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음악 전시회 분야에 대한 더 깊이 있는 탐구와 확장성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 요즘 작곡가님이 주목하고 계신 예술적 흐름이나 기술적 관심사가 있다면 소개해 주세요.
임경진: 현대음악 작곡가라는 틀에서 벗어나 현대 시대를 살아가는 '작곡가'로 살기 위해 어떤 마음가짐을 가져야 할지, 어떤 작품을 써야 할지 고민하고 있고, 현대를 대표하는 기술적, 예술적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도 저만이 쌓아갈 수 있는 서사를 만들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마지막으로, 이번 무대를 찾아 주실 관객 여러분께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임경진: 5분 남짓한 음악을 위해 연습의 과정에는 몇 배, 작곡은 몇십 배 더 많은 시간들이 녹아들었을 겁니다. 그 과정들을 통해 완성된 12개의 저마다 다른 음악 작품이 관객들께 저마다 다른 감동과 기쁨으로 마음 한켠에 울림과 영감이 되기를 바랍니다.

한편, 작곡가 임경진이 참여하는 <제4회 여로 창작 합창제: 김소월을 말하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현대음악 창작단체 여로의 SNS 채널 및 NOL 티켓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클래시안 이현승 기자

*클래시안에서는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classian.korea@gmail.com을 통해 메일 제보, http://www.classian.co.kr/ 기사제보란을 통해 온라인 제보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