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8월 11일(월) 오후 7시 30분, 서초문화예술회관 아트홀에서는 현대음악 창작단체 YEORO(여로)가 주최하는 <제4회 여로 창작 합창제: 김소월을 말하다>가 열린다. 이번 무대는 여로 콘서트 시리즈의 25번째 공연으로, 12명의 젊은 작곡가들이 김소월의 시를 바탕으로 한 창작 합창곡을 선보인다. 전통과 현대, 문학과 음악이 어우러지는 이 자리에서 시와 선율의 새로운 조우가 펼쳐질 예정이다.
클래시안은 이번 합창제에서 김소월의 시 「맘에 속의 사람」, 「실제(失題) 2」, 「항전애창」, 「두 사람」을 지휘하는 지휘자 정제호를 만나, 그의 음악 세계와 예술관을 들어봤다.
― 안녕하세요, 지휘자님.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김찬희: 안녕하세요. 저는 독일 베를린을 거점으로 활동하고 있는 지휘자 김찬희입니다. 이번 제 4회 여로 창작 합창제를 통해 관객분들을 다시 만나게 되어 영광입니다.
― 이번 음악회에서 지휘하시는 작품들에 대해 소개해 주세요.
김찬희: 제가 지휘하는 곡은 총 4곡입니다. 강한뫼 작곡가님의 <맘에 속의 사람>, 황재인 작곡가님의 <실제(失題) 2>, 윤지환 작곡가님의 <항전애창>, 임경진 작곡가님의 <두 사람>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 해당 작품을 처음 마주하셨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른 감정이나 인상은 무엇이었나요?
김찬희: 이번 작품들을 맡게 되어 깊은 설렘을 느꼈습니다. 현대음악, 국악적인 흐름과의 협업 등 제3회 여로 합창제와는 다른 성격의 레퍼토리를 통해, 새로운 합창음악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며 기쁘게 준비하고 있습니다. 또한 김소월 시인의 덜 알려진 시편들을 재조명하고, 현시대 청년의 목소리로 풀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간으로 다가옵니다.
― 김소월 시의 정서를 합창으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가장 고민되었던 점, 또는 도전이 되었던 부분은 무엇이었나요?
김찬희: 김소월 시인은 본인의 시를 통해 절제된 감성을, 또한 한국이 갖고 있던 고유의 정서를 표현하려고 노력한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시인을 곡으로 옮겼을 때 이 시인이 의도했던 숨은 의도를 잘 표현할 수 있을까 걱정을 많이 했던 것 같습니다. 또한 위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김소월 시인의 덜 알려진 시인 작품과 다양한 합창의 패러다임을 보여주는 과정이 제 그릇의 역량을 고민하게 되는 시간이 되는 것 같습니다.
― 각 작품을 처음 듣는 관객들이 특히 주목해 주셨으면 하는 부분이 있다면 알려 주세요.
김찬희: 이번 무대는 김소월 시인의 잘 알려지지 않은 시들을 음악으로 재해석한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곡은 시의 정서와 흐름에 따라 감정이 점차 고조되거나 내면으로 깊어지기 때문에, 가사와 음악이 함께 변화하는 감정의 흐름에 집중해 주셨으면 합니다. 특히 「맘에 속의 사람」에서는 “그, 내 사람”을 말하기까지의 감정적 변화, 「항전애창」에서는 흰 꽃과 검은 머리 사이의 대비에서 느껴지는 정서의 이면, 「두 사람」에서는 “돌아서도”라는 반복 안에 숨겨진 그리움의 밀도에 주목해 주신다면, 시와 음악이 함께 빚어내는 내면의 풍경을 더욱 깊이 느끼실 수 있을 것입니다.
― 이번 공연을 통해 청중에게 어떤 감정이나 메시지가 전달되기를 바라시나요?
김찬희: 이 공연을 통해, 잘 알려지지 않았던 김소월의 시들이 현대 청년의 목소리와 감정으로 다시 살아나길 바랍니다. 각각의 작품은 단순한 옛 정서를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오늘을 사는 우리가 여전히 겪고 있는 이별, 그리움, 불안, 회복되지 않은 기억 등을 담고 있으며, 관객 분들도 그 감정 속에 자연스럽게 이입되시길 바랍니다. 나아가 시와 음악이 만나 만들어내는 깊은 공감과 여운 속에서, 각자의 ‘마음 속의 사람’을 떠올려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지휘자님께 ‘예술’이란 무엇인가요? 그리고 그 예술이 ‘언제’ 가장 예술답게 느껴지시나요?
김찬희: 저에게 있어 예술은 우리를 대변하는 도구입니다. 국가는 우리의 정체성을, 아리랑은 선조들의 아픔을 노래합니다. 저는 이처럼 예술이 감정과 역사, 공동체의 기억을 연결하는 힘을 가졌다고 믿습니다. 그리고 그 메시지를 지금을 사는 청년의 목소리로 다시 전할 수 있는 사람이 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 앞으로 지휘자로서 도전해보고 싶은 음악적 시도나 무대가 있다면 말씀해 주세요.
김찬희: 저는 호기심이 많은 지휘자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의 연주에서는 현대적인 기법을 더하거나, 뮤지컬적 요소나 연기와 같은 표현을 접목시키는 등, 기존 작품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도전을 지속하고자 합니다. 지금을 살아가는 음악가 여러분과 함께, 인성음악을 바라보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가고 싶습니다.
― 마지막으로, 이번 무대를 찾아주실 관객 여러분께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찬희: 제3회 여로 연주회 이후 어느덧 4년이 흘렀습니다. 이번 무대가 여러분의 삶에 다시 한 번 용기와 위로가 될 수 있기를 소망하며, 정성을 다해 준비했습니다. 그리움과 이별, 불안과 희망이 담긴 노래들 속에서, 여러분 자신의 이야기를 마주하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함께 숨 쉬며 듣는 그 순간들이, 우리 모두에게 오래 남는 울림이 되기를 바랍니다.
한편, 지휘자 김찬희가 참여하는 <제4회 여로 창작 합창제: 김소월을 말하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현대음악 창작단체 여로의 SNS 채널 및 NOL 티켓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클래시안 이현승 기자
*클래시안에서는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classian.korea@gmail.com을 통해 메일 제보, http://www.classian.co.kr/ 기사제보란을 통해 온라인 제보가 가능합니다.